차트패턴 검색은 ‘종합차트’ 상의 주가의 흐름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종목을 찾는 화면으로,
구성은 다음 [그림 1]과 같습니다.

차트
- [종합차트]에서처럼 특정 종목의 데이터를 불러와서 차트에 그려주는 부분입니다. 데이터를 불러오는 방법은 [종합차트]와 동일합니다.
차트 불러오기
- 차트를 불러오면 시스템이 전체 차트 영역을 [검색 영역]으로 설정하며, 차트 상에서 검색을 원하는 부분(검색 영역)을 부분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검색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은 [그림 2]와 같이,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각형의 대각선을 그리듯 하는 것입니다. 검색을 수행할 때, [검색 영역] 이외의 데이터는 무시되며, [검색 영역]의 패턴만을 고려합니다.

- 그림 2). 검색 영역 선택
검색종목 그리드
- [3. 검색종목 그리드]에는 검색된 종목들을 보여줍니다. 검색된 종목의 가장 왼쪽에 있는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9. 확장메뉴]에 있는 버튼들을 눌러 해당 기능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패턴 관리
- [패턴 저장하기]와 [저장패턴 불러오기] 버튼은 [1. 차트]에서 선택된 차트 패턴을 별도로 저장하고 저장된 패턴을 불러올 때 사용합니다.

- 그림 3). 패턴 저장하기

- 그림 4). 저장패턴 불러오기
기준 일자
- ‘몇 봉 전’ 기준을 의미하며, 몇 봉 전 데이터를 ‘최신의 데이터’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검색의 시점을 과거로 옮기는 효과를 보입니다.
가령, 5일 전 시점에 [1. 차트] 상의 [검색 영영]과 비슷한 패턴을 보인 종목을 찾고자 한다면, [5. 기준일]을 ‘5’로 설정합니다.
이 기준 일자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달리 해석해야 합니다. 즉, 일봉일 때는 기준일자로, 주봉은 기준주간으로, 월봉은 기준월로, 분봉일 때는 ‘몇 봉 전 기준‘으로 보면 됩니다.
검색 대상
- [대상]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다이얼로그에서 검색 대상을 보다 세밀하게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즉, 거래소/코스닥/전체 포함 여부, 관리/감리종목 제외 여부, 가격대 범위, 거래량 범위 등에 대해 상세히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검색과 출력의 순서를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정확도
- 정확도(유사도, similarity)는 50% ~ 100% 사이 값을 가지며 기본 값은 85%입니다. 100%에 가까울수록 소수의 더 비슷한 종목을, 50%에 가까울수록 다수의 덜 비슷한 종목을 검색합니다.
차트패턴 검색이 내부적으로 매우 복잡한 ‘패턴 매치’ 과정을 거치므로, ‘[7. 정확도]의 정확도‘와 ‘[3. 검색종목 그리드]상의 정확도’ 사이에 작은 모순이라고 느낄 만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령, [7. 정확도]를 50% 이상으로 설정하여 검색할 때, 종목 X가 65%의 정확도를 보인다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그런데, [7. 정확도]를 60% 이상으로 설정하여 동일한 검색을 수행할 때에 종목 X가 검색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어쩌면 모순적인 현상은, ‘패턴 매치’ 과정이 보다 엄격하고 복잡한 판정 과정을 거쳐서 검색결과를 추출하는 것에 반해, 정확도는 여러 판정 과정 중 ‘대표적인 값’ 하나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패턴 매치’의 논리상 모순이 아닙니다.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다수의 검색 결과 중에서도 더 정확한 소수를 추출하기 위한 것임을 생각하면, 정확도가 올라가면서 덜 정확하다고 판단되는 종목을 걸러내는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이해를 바랍니다.
검색 방법
- 검색방법에는 [일반 검색]과 [결과내 검색], [결과외 검색]의 세 가지가 있으며, 검색방법에 따라 검색 대상을 선정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일반 검색]은 [6. 대상]을 통해 선정한 종목에 대해, [결과내 검색]은 [3. 검색종목 그리드]에 등록된 종목들에 대해 검색을 수행합니다. [결과외 검색]은 [일반 검색]의 종목에서 [결과내 검색]의 종목을 뺀 여집합([일반검색] - [결과내 검색] = [결과외 검색])에 대해 검색을 수행합니다.
[결과내 검색]과 [결과외 검색]의 경우, [10. 목록탭]에 새로운 탭 항목을 만들어서 검색결과를 보여줍니다. 즉, 기존 검색결과를 지우지 않고, 그대로 보존합니다.
확장 메뉴
- [초기화] 버튼은 [3. 검색종목 그리드]를 비우는 등, 기존의 검색내용을 말끔히 지웁니다.
[저장] 버튼과 [불러오기] 버튼을 통해, [3. 검색종목 그리드]에 있는 종목들을 별도의 이름으로 저장하거나, 저장된 내용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10. 목록 탭]이 있을 경우, 이들 목록들을 대상으로 합성작업을 통해 교집합, 합집합, 여집합(intersection set, union set, difference set)을 만들 수 있습니다.
[차트로] 버튼을 통해, [3. 검색종목 그리드]에 있는 종목들을 ‘종합차트’의 해당 메뉴로 전송합니다.
[관심종목] 버튼은 [관심종목 등록 다이얼로그]를 보여줍니다. 이 다이얼로그를 통해, [3. 검색종목 그리드]에서 선택된 종목들을 관심종목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연속] 버튼은 [3. 검색종목 그리드]에서 선택된 종목을 대상으로 ‘연속/연속보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이얼로그를 띄웁니다.
목록 탭
- [8. 검색방법]이 [결과내 검색]과 [결과외 검색]의 경우, [10. 목록 탭]에 새로운 탭 항목을 만들어서 검색결과를 보여줍니다. 즉, 기존 검색결과를 지우지 않고, 그대로 보존합니다. ‘일반검색’일 때는 기존 목록들을 모두 비우고, 하나를 새롭게 만듭니다.
[9. 확장메뉴]의 [저장] 버튼과 [불러오기] 버튼을 통해, 새로운 목록을 합성하는 경우에도, 새로운 탭 항목을 만들어서 검색결과를 보여줍니다.
여러 목록을 모두 지우려면, [9. 확장메뉴]의 [초기화] 버튼을 누르거나, [8. 검색방법] 중 [일반 검색]을 수행하면 됩니다.
진행 상태
- 검색에 대한 상태를 간략하게 알려줍니다. [조회] 버튼을 누를 때 0%로 초기화된 진행상태 막대가 100%에 도달하면 검색이 완료된 것을 의미합니다. ‘검색대상 종목’과 ‘조건만족 종목’은 총 몇 개의 종목 가운데 몇 개의 종목이 검색되었음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