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전략 검색]은 [간편 검색]에 나오는 검색조건들이 일정한 기간 동안 어떠한 성과를 보였는지를 보여주는 화면으로, 구성은 [그림 1]과 같습니다.
[최적전략 검색]은 가령, [5일] 전에 어떤 전략을 만족하는 종목이 몇 개 검색되었고, 이후 [5일] 간 이 종목들이 보인 가격상승률의 평균값과 그 표준편차 값을 보여줍니다. 이들 평가 내용을 통해 현재 시장에서 보다 적합한 검색조건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전략의 항목을 더블클릭하면 [간편 검색] 화면을 띄우고 해당 검색전략에 대한 검색을 수행합니다.

제약 환경
- [최적전략 검색]에서 보이는 성과 값들은 다음과 같은 제약 아래서 성과를 측정한 것입니다.
① [최적전략 검색] 화면에 나오는 [전략] 목록은 [간편 검색]의 검색 조건들과 동일한 것입니다.
② [간편 검색]의 검색 조건들 중에서도 [일봉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조건들에 대한 것만을 보여줍니다.
③ 검색조건식에 대한 지표 변수 값은, [간편 검색] 화면의 [지표 설정 다이얼로그]에서 [지표 초기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디폴트값을 갖고 계산을 한 것입니다.
평가 시점
- [최적전략 검색]에서 보이는 성과 값들은, 전일까지의 데이터만을 갖고 계산한 것입니다. 즉, 금일 데이터를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성과 값을 측정한 시점은 당일 장이 열리기 전 새벽입니다.
따라서 금일 장이 열리고 장이 시작된 다음이라면, 검색전략 중 [5일] 항목에 대한 검색 내용을 [간편 검색]에서 확인하려면 기준일자를 ‘6’일(봉) 전으로, [20일] 항목은 ‘21’일(봉) 전으로, [60일] 항목은 ‘61’일(봉) 전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장이 열리지 않은 날이거나, 장이 열리기 전이라면 1일을 더할 필요가 없습니다.
평가 내용
- 5일], [20일], [60일] 전에 검색된 종목들이 같은 기간 동안 어떠한 가격변화를 보였는지를 전략(검색조건)별로 알려줍니다. 가령, [5일] 전에 어떤 전략을 만족하는 종목이 몇 개 검색되었고, 이후 [5일] 간 이 종목들이 보인 가격상승률의 평균값과 그 표준편차 값을 보여줍니다.
[그림 1]의 상단에 있는 [지수등락률] 부분은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의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수 등락률과 전략별 등락률을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전략의 평가가 가능할 것입니다.